본문 바로가기

UIUX_5주차_레퍼런스분석

by 묘묘님 2024. 3. 12.

클래스101

오늘은 클래스 101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클래스101은 사람들이 유료로 원하는 것을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이다. 다양한 분야의 클래스가 있으며 직접 클래스를 개설할 수도 있다.

클래스101의 Selling Point/Pain Point를 알아보고자 한다.

 

 

 

 


 

 

 

 

1. Selling Point.
웹페이지 앱페이지의 동일 구성!

이미지와 같이 클래스101의 웹페이지와 모바일 페이지의 구성이 똑같이 되어있었다.

그래서 작은 휴대폰 화면으로 보기 힘든 모바일 유저들도 웹으로 들어와 모바일 앱과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모바일에서 보던 클래스들을 웹으로 옮겨와 더 크고 많이 볼수 있었고 구성이 똑같이 되어있어서 학습을 따로 하지 않아도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2. Selling Point.
구독 시스템!

구독 페이지

클래스101의 Selling Point중 제일 좋았던건 구독 시스템이였다. 

초창기에는 클래스별로 하나씩 따로 구매했어야 해서 하나의 강의를 선택할 때 많은 고민이 필요했었는데, 그러한 점을 개선해서 구독이라는 서비스를 만들었다. 클래스101을 이용하는 사용자로서 이부분이 큰 셀링포인트가 되지않았나 싶다.

지금은 베이직 월간 구독이 없어졌다고 들었다. 대신 베이직 연간 구독으로 바뀌었다.

다른 앱들을 이용하다 보면 간혹 구독했거나 정기결제한 것을 해지하고 싶을 때 해지버튼을 찾는게 힘들었던 경험이 있었다. 하지만 클래스101은 구독을 해지하는 시스템창이 눈에 띄게 잘 보여서 언제든지 해지 할 수 있어 좋았다. 

 

 

3. Selling Point.
1분 요약 숏츠 활용!

클래스 1분 요약 숏츠 이미지

다양한 장르에서 인기있는 클래스를 미리보기처럼 볼 수 있는 시스템이 있었다. 그게 바로 클래스 1분요약 숏츠였다.

강의를 맛보기처럼 1분으로 요약하여 어떤 클래스이며 어떤것을 배우고 난이도는 어떠한지 빠르고 간단하게 볼 수 있도록 숏츠로 제작하는 부분이 셀링포인트로 작용하였다. 

숏츠로 만들다 보니 들어가서 동영상을 재생하면 1.5배속?정도로 영상이 진행되는데 그렇게 빨라보이지도 않고 이해를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어두어 보기가 용이했다. 어떤 강의를 들을지 정하지 못한 사용자라면 짧은 숏츠를 보고 결정하기 좋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했다.

 

 

4. Selling Point.
준비물/코칭권 구매시스템!

준비물 코칭권 구매 시스템 이미지

내가 원하는 클래스를 들어가 커리큘럼과 어떤 결과물이 나오는지 확인 한 후 수강을 결정하게 되었다면 제일 먼저 준비물이 무엇인지 확인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해소 할 수 있도록 클래스 상단에 보면 준비물 코칭권 구매 버튼이 있다.

이 버튼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뜬다.

준비물 화면에 들어가면 어떤 준비물이 필요하고 준비물패키지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어떤거인지 알려주며 꼭 필요한 것들중 포함이 되지않는 것은 따로 구매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알려준다.

패키지를 보고 내가 꼭 구매해야 하는 것만 구매한 후 배송을 받아야하는 물건이라면 배송정보에 들어가 배송현황을 알 수 있었다.

 

 

 

 


 

 

 

 

1. Pain Point.
평생소장하기 클래스 모바일 구매불가

클래스 평생 소장 구매 이미지

클래스 구독권을 끊어도 따로 결제해야하는 클래스가 있다. 그게 바로 '평생소장'이며 그래서 페이지가 따로 존재한다.

구독권에 없는 클래스들을 구경하고 구매하려고 모바일에서 클래스 소장하기 버튼을 눌렀더니 두번째 이미지와 같이 모바일에서는 구매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뜬다. 그래서 웹페이지로 넘어와 구매버튼을 눌렀더니 맨 오른쪽이미지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평생소장은 아직 모바일 기기에서 구매할 수 없고 웹페이지에서만 구매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모바일을 더 자주 이용하는 사람으로써 이러한 부분은 Pain Point로 충분히 느껴졌다.

왜 그럴까? 하고 생각해보았는데 모바일에서는 화면 녹화 기능과 캡쳐를 하지 못하게 하기위해서 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즉 2차 가공을 막기위함 이었을것이다 라는 추측이다. 

 

 

2. Pain Point.
댓글 피드백의 부족

댓글 창 이미지

예전에는 클래스를 따로 구매해서 이용하는 시스템이어서 그런지 댓글로 궁금한거나 작품사진을 올리면 작가님들이 대댓으로 달아주시며 코치를 해주셨는데 지금은 구독시스템이 생겨서 그런지 댓글로 궁금한점을 물어보면 답글을 달아주시지 않는다.

물론 코칭권이라는 시스템이 생겼지만 가벼운질문 간단한 질문을 하기위해 코칭권을 사야하는 부담스러운 상황까지 가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했다. 대부분 세세한 내용이라던지 심화질문을 위해서 코칭권을 사용하지 정말 간단한데 궁금한 질문을 위해 코칭권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pain point가 오래된 게시글 관리 소홀로 이어지는 것같다. 지금 보면 새로운 강의도 많이 올라오지만 구독채널에는 새로운 강의보다 예전강의들이 더 많다. 그러하다보니 운영진측에서도 예전 게시글 작가강의는 많은 신경을 쓰지않는듯 보인다. 그로인해 불만을 표출하는 소비자가 몇몇 존재한다는 것을 네이버 검색결과만 봐도 알수 있었다. 

 

 

3. Pain Point.
찜한 클래스 정리의 기능/파일 만들기 기능 부재

내 클래스 이미지

내 클래스 페이지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찜기능을 하는 페이지인것 같다. 들어가보면 이미지와 같이 뜬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찜페이지와는 다르게 찜한 강의들을 정리하거나 따로 분류해 둘 수 있는 기능이 없다. 그래서 그런지 내가 최신에 찜한 순으로 되어있다보니 중구난방으로 배치가 되어있었다.

그리고 찜한 강의 중 듣지않고 싶은 강의나 이미 수강중인 강의를 찜목록에서 삭제하고 싶을 때 일일이 하나씩 들어가 찜체크를 풀어야 한다는 점이 매우 불편했다. 

 

지그재그 찜 페이지 이미지

지그재그를 예로 들면 찜한 상품을 한번에 편집하는 기능과 파일기능이 잘 되어있다. 편집 화면에 들어가 한번에 상품을 많이 선택한 후 삭제하거나 파일을 만들어 옮길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해서 이용자로써 편했다. 또한 찜한 목록을 정리 하지않더라도 카테고리 별로 선택해서 볼수 있었다.

 

 

 

 


 

 

 

 

개선 해야 할 점.

1. Pain Point 1의 평생클래스 모바일 결제 불가한 부분을 모바일로도 결제가 가능 하도록 빠른 업데이트가 필요해 보인다.

만약 평생클래스 모바일 버전에서의 문제점이 고민이 된다면 그러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방지책을 구성하여 같이 업데이트 하면 좋을듯 하다.

 

2. Pain Point 2의 댓글 피드백 부족과 이러한 점에서 발생되는 오래된 강의 관리 부실의 문제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초창기에는 강의일정 갯수를 듣고 미션을 하면 포인트를 주었다. 이 포인트로 수강 2주 연장,피드백권 등 사서 사용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이 기능을 없앴다. 포인트 모으기 사용하기 기능이 있던것은 좋았는데 다시 살리는 방향으로 바꾸면 어떨까 싶다.

 

3. Pain Point 3의 불편사항을 해결하면 많은 이용자들이 편하게 생각할 것 같다. 

시작적으로도 이쁘고 정리가 되어있다면 찾기도 쉬울테니 말이다. 또한 찜목록에서 바로 삭제할 수 있는 버튼을 생성하여 개선하면 좋을 듯 하다.

 

4. 후기영역의 모호함.

이용 후기이미지

후기영역이 후기영역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그냥 어떻게 만들었는지 결과물과 질문사항들을 적어둔 글이었다.

후기라 함은 아직 이용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먼저 이용한 사람들이 어떠한 점이 좋고 나쁘고를 적어둔 것을 생각했는데 클래스101은 그렇다기 보다 작품공유 공간같았다. 이러한 점을 생각해서 작품을 적어두는 공간은 남겨두어도 되나 후기영역은 따로 필요 할 것 같다.

 

5. 커뮤니티 페이지 만들기

강남언니의 커뮤니티 이미지

이 점은 개선해야할 점이라고 하기보다 있으면 더 좋겠다 하는 부분이다. 커뮤니티 기능이 있으면 사용자들끼리 같은 클래스를 듣던 안듣던 소통하며 서로 다른 클래스의 좋은점을 알 수 있고 그러한 부분을 통해서 새로운 강의를 수강하며 취미를 더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UX_6주차_레퍼런스분석  (0) 2024.03.19
UIUX_5주차_학습일지_1  (0) 2024.03.12
UIUX_4주차_학습일지_3  (0) 2024.03.04
UIUX_4주차_학습일지_2  (2) 2024.03.04
UIUX_4주차_학습일지_1  (2) 2024.03.04